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 교육사,교육철학/교육사상/도덕교육

본문 바로가기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 교육사,교육철학/교육사상/도덕교육
메인으로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사용후기 0 개
위시리스트0
판매가격 20,000원
저자 서울대학교 혁신과공존의교육연구사업단 펴냄/ 책임편저자 김동일, 유성상
발행일 2024-01-31
ISBN 978-89-254-1860-5(93370)
페이지 452
판형 신국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0원
위시리스트
  • 상품 정보

    도서소개

    이 책은 한국사회의 교육이 처한 다양한 문제를 좀 더 새로운 시각으로 봐줄 것을 제안한다. 그것은 혁신이라는 화법, 공존이라는 화법 어느 하나로 충분하지 않음에 대한 인식에 근거한 것이고, 이 기술 발전 속 혁신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연대와 협력에 기반한 더불어 삶이란 공존의 가치가 교육 속에서 함께 추구되고 실천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는 특정 연구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와 변증법적 진보를 꾀하려는 교육적 실천이 꼭 실현해내야 할 미래적 과제이기도 하다. 

    목차

    서문(김동일, 유성상) ···················································3


    제1부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서설


    제1장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을 지향하며 ·······························15

    Ⅰ. 들어가며 ···························································15

    Ⅱ. 왜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인가? ····································19

    Ⅲ.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확장: 분과 학문의 연구 문제 탐색 ··········24

    Ⅳ. 나가며 ·····························································52


    제2부 공존의 교육학


    제2장 탈근대적 패러다임으로서 공존의 교육학을 위한 시론: ‘교육적 공존(educative coexistence)’의 개념을 중심으로 ···· 67

    Ⅰ. 들어가며: ‘교육’과 ‘공존’의 개념적 관계 ··························67

    Ⅱ. ‘공존’의 개념,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공동-내-존재’ 개념의 의미 ·······································71

    Ⅲ.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서의 ‘교육적 공존’의 의미 ··············82

    Ⅳ. 나가며 ·····························································99


    제3장 근대의 표준화된 교육에서 삶을 위한 교육으로의 전환 ·····103

    Ⅰ. 교육의 발달과 학교교육 ··········································104

    Ⅱ. 근대국가의 등장과 학교관료제 ···································108

    Ⅲ. 교육의 가치와 관료제적 교육 ····································116

    Ⅳ. 미래사회와 “삶”을 위한 교육 ·····································121

    Ⅴ. 삶을 위한 교육을 위해 바뀌어야 할 것들 ·························128


    제4장 교육적 실천의 장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공존’에 대한 이해: 행위자-네트워크이론(ANT)을 중심으로 ························139

    Ⅰ. 들어가며 ·························································139

    Ⅱ. 교육의 ‘물질적’ 측면에 대한 새로운 사유: 비-인간과 공존한다는 것의 의미 ·································143

    Ⅲ. ANT의 주요 개념 및 핵심 주장 ···································149

    Ⅳ. ANT의 관점에서 교육적 실천을 새롭게 사유하기 ················160

    Ⅴ. 나가며 ····························································167


    제3부 사회변화와 교육적 공존


    제5장 미래교육에 대한 상상: 공동재로서의 교육 ····················175

    Ⅰ. 들어가며 ·························································175

    Ⅱ. 공동재로서의 교육: 무엇이고 왜 등장한 것일까? ·················178

    Ⅲ. 공동재로서의 교육: 의미와 한계 ·································184

    Ⅳ. 공동재로서의 교육, 어떻게 상상할 것인가 ·······················196


    제6장 사회ㆍ문화적 관점에서 본 리더십재능 계발과 교육 ·········207

    Ⅰ. 들어가며 ·························································207

    Ⅱ. 이론적 배경 ······················································212

    Ⅲ. 나가며: 논의 및 제언 ·············································235


    제7장 사회변화에 대한 민감성과 진로 이론: 사회정의옹호철학 기반 일 연구 ·································251

    Ⅰ. 들어가며 ·························································251

    Ⅱ. 전통적인 진로이론들의 기본 가정 ································253

    Ⅲ. 진로이론 발전 동력: 사회적 변화에 대한 민감성 ·················259

    Ⅳ. 사회정의철학에 기반한 진로 이론의 시작 ························260

    Ⅴ. 후속 연구 방향과 진로상담 분야 내 함의 ·························270


    제8장 학교 현장의 갈등 양상과 교육적 공존을 위한 교육행정학적 제언 ················································277

    Ⅰ. 들어가며: 교육적 공존을 위한 의미의 공유 ······················277

    Ⅱ. 학교 현장의 갈등 양상 및 갈등관리 ······························279

    Ⅲ. 교육적 공존을 위한 교육변화의 원리: Fullan의 교육변화 이론 ···· 299

    Ⅳ. 나가며: 교육행정에서의 공존교육 ································304


    제4부 디지털 사회의 교육 혁신


    제9장 디지털 자본의 학교교육 투자와 학생의 학업성취도 ·········313

    Ⅰ. 들어가며 ·························································313

    Ⅱ. 디지털 자본과 학교교육 ··········································316

    Ⅲ. 디지털 자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323

    Ⅳ. 정보 격차와 학업성취도 ··········································332

    Ⅴ. 나가며 ····························································343


    제10장 인공지능 시대 교육 혁신을 위한 학습과학 연구 ·············355

    Ⅰ. 들어가며 ·························································355

    Ⅱ. 맞춤형 교육을 위한 학습분석 ····································360

    Ⅲ.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교육 ·······································377

    Ⅳ. 나가며 ····························································395


    제11장 AI 융합 교육을 위한 설계 개발 연구 방법론의 활용 가능성 ···403

    Ⅰ. 들어가며 ·························································403

    Ⅱ. AI 융합 교육과 수업 설계 원리 및 모형의 필요성 ················406

    Ⅲ. AI 융합 교육을 위한 설계 개발 연구 방법론의 특성과 활용 가능성 ··············································414

    Ⅳ. 나가며 ····························································434

    저자소개

    곽덕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교육철학), 교육연구소 연구원, 현 서울대 교육연구소 소장임. 교사교육철학, 예술교육철학, 동서양 인문교육전통비교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김동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상담전공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 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주임교수로 현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연구단 단장.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에 대한 사회과학 집단연구(SSK)의 책임연구자이며, 모든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더 좋은 교육과 상담 포럼 회장임.


    김진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음. 창의성 및 영재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문희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객원연구원임. 교육정책분석, 교육형평성, 교육경제학 등의 연구영역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박소미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 전공 석사과정 학생임. 다중 양식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한 맞춤형 학습 설계, AI-인간 상호작용을 통한 문제해결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음.


    박혜성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 취득 후 현재 인천대학교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임. 창의성 및 영재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백아롱

    이화여대 에듀테크융합연구소 연구교수.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 창의성, 온라인 학습 등의 연구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소경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국가교육과정 연구와 개발, 교사 정체성과 행위주체성, 교육 현상 및 실천에 대한 사회물질적 접근, 교육과정 이론화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음.


    신윤정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 교육상담전공 주임교수로서 현재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심리상담부장을 맡고 있음. 연구 관심사는 사회정의옹호철학에 기반한 상담개입 및 예방방안으로서 주로, 진로/직업 상담 및 교육, 그리고 소수자의 정신건강 관련 연구들을 수행해왔음.


    신정철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교육과 대학의 지식 생산이 사회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탐구하고 있음. 서양에서 수입해 온 지식, 빌려온 지식에 의존하여 우리 교육 현상을 설명하기보다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 속에서 우리 교육을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아시아 각국의 교육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아시아 각국의 학자들과 공동 연구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음.


    엄문영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 교육행정전공으로 교사교육, 교육조직론, 리더십 등의 연구영역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현장 교사들과 함께 연구하는 모임 엔트(ENT: Education Network for Teachers)를 운영 중이며, 엔트 활동의 일환으로 교사들과 함께 YouTube 채널 <교사담-Edu Talk>를 통해 교육에 관한 소통에 힘쓰고 있음.


    유성상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 대학원 글로벌교육협력전공 주임교수로 현 BK21FOUR 혁신과 공존의 교육연구단 부단장이자 서울대 평생교육원 원장임. 국제비교교육, 한국근현대교육의 형성, 교육발전론, 교육불평등, 교육 ODA 등의 연구영역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이선영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현재 사범대학 진로디자인센터 센터장임. 창의리더십을 통한 재능공유연구랩을 운영하면서 창의성교육, 영재교육, 재능계발 및 공유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2023년부터 교육부 지원 소외계층 학생들의 재능계발을 위한 영재키움프로젝트를 운영 중임.


    이수한

    교육학과 박사과정 수료. 교육과정 이론화, 교육과정 정책, 비판적 다문화교육,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음.


    이진호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교육철학전공 박사과정생. 미디어 교육, 교육과 기술, 교육과 예술, 교육의 공공성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


    임철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 AI융합교육학과 참여 교수임. 미래교육혁신센터 소장을 맡고 있음. 교육공학, 교수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론, 미래교육, AI융합 교육, 설계개발연구방법론, 에듀테크 활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정동욱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 교육행정전공 주임교수로, 현재 서울대 교육행정연수원장을 맡고 있음. 주요 관심 연구영역은 교육경제, 교육재정, 교육정책의 분석임.


    정설미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임. 교육복지, 교육격차, 교육분권화 등의 연구영역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조영환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현 사범대학 기획부학장 겸 학습과학연구소장임. 학습자중심교육, 인공지능기반교육, 학습분석, 온라인학습 등에 관심을 가지고 학습과학 연구를 진행 중임.


    조은이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상담심리치료학과에서 가족·청소년·조직 상담 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임. 대학원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하였고, 현재 상담과정, 마음챙김-기반 상담,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교육 등의 영역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최진희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프로그램 주임교수로 평생교육정책, 고등교육, 비교교육, 성인학습이론 등의 영역을 연구 중임.

    상품 정보 고시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교환정보

    배송

    30,000원 이상의 주문시에 배송료는 무료이며, 30,000원 미만시 배송료는 2,500원 입니다. 
    입금확인일 이후 2~3일 안에 물품을 받아보실 수 있으며(일요일, 공휴일 제외) 산간 도서 지방일 경우 1~2일정도 지연될수 있습니다.
     

    교환

    * 사전 연락을 주셔야 하며, 모든 상품의 교환 및 환불은 구입일로부터 10일 이내에 가능합니다. 
    1) 상품에 하자가 있을 때 
        저희측 실수로 인한 하자발생시 100% 교환 및 반품 가능하며 배송료는 저희측 부담입니다. 
    2) 소비자의 기호변경, 주문서 잘못 기입 
        소비자의 기호변경과 잘못된 주문으로 인한 교환에 따른 배송료는 왕복배송료 모두 소비자부담이며,
        상품에 하자 및 이상이 없을 때 가능합니다. 
    ▷교환 및 반품 방법 031-955-6956~8 으로 연락하신후 보내실 물품을 주시면 됩니다.
        보내실 주소는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문발리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4-5호
        (도서출판)교육과학사 특판영업부
    '입니다.
     

선택된 옵션

  • 혁신과 공존의 교육학
    +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