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사회과교육은 여러분의 마인드 스케일을 세계와 세계의 인류로 확장하는 데 목적을 둔다. 즉 예비교사로서의 시민성 함양이다. 시민성을 지닌 교사로부터 글로벌 차원의 시민성 함양의 사회과수업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과교육에서 배운 전문적 지식과 창의적 역량, 사회적 가치를 활용하여 국가와 사회, 더 나아가서 인류를 ‘행복’하게 만드는 일에 참여하는 교사로서의 역할을 기대하며, 본 도서가 그러한 교육에 도움을 주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사회과교육 이해 7
[01] 사회과교육과 시민성 9
1. 사회과의 성격과 목표 9
2. 시민과 시민성(citizenship) 13
[02] 사회과교육의 유형과 특성 20
1. 전통적 시민성 전수로서 사회과교육 21
2. 사회과학 탐구로서 사회과교육 22
3. 반성적 탐구로서 사회과교육 22
[03] 사회과 교육과정 조직과 구성 38
1. 환경확대법 적용 38
2. 개념 중심 나선형 조직 43
3. 사회과학의 통합교육과정 구성 48
4. 지역화 교육과정 적용 56
[04]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70
1. 교수요목기(1946~1953) 70
2. 제1차 교육과정(1954~1962) 72
3. 제2차 교육과정(1963~1973) 74
4. 제3차 교육과정(1973~1980) 75
5. 제4차 교육과정(1981~1987) 77
6. 제5차 교육과정(1987~1992) 79
7. 제6차 교육과정(1992~1997) 81
8. 제7차 교육과정(1997~2006) 85
9. 2007 개정 교육과정(2007~2015) 88
10. 2015 개정 교육과정(2015~2022) 90
11. 2022 개정 교육과정(2022~) 94
[05]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102
1. 영국의 지리 교육과정과 시민성 교육과정 102
2.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 112
3. 오스트레일리아 사회과(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SS) 교육과정 116
4. 캐나다의 온타리오 주 사회과 교육과정 121
Ⅱ. 사회과 수업 설계 127
[01] 수업목표 설정 129
1. 수업목표의 기능과 가치 129
2. 수업목표 설정의 방법 130
[02] 사회과 수업 설계 143
1. 좋은 수업을 위한 조건 143
2. 수업 설계와 수업안 작성 145
[03] 사회과 수업 모형 163
1. 개념학습 163
2. 사회과 탐구학습 171
3. 문제중심학습과 문제해결학습 184
4. 의사결정학습과 논쟁문제학습 196
[04] 사회과 수업의 실제 211
1. 지도 활용 수업 211
2. 인공지능 도구 활용 수업 233
3. 도서 및 사진 활용 수업 244
4. 체험, 조사 중심 현장학습 255
5. 지역사회 연계 교육 279
찾아보기 295
저자소개
김다원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지리교육을 공부하고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박사학위 과정에서부터 꾸준히 세계에 대한 인식과 감각을 키우는 교육을 지향하며 이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어왔다. 이에 국제이해교육, 문화다양성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등 세계시민성 함양 교육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협력진, 2022 개정 초등 사회과 교과용도서 개발 저자로 역할을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지리교육과 글로벌 관점’(번역서), ‘글로벌 학습의 잘못된 약속’(번역서), ‘지속가능발전교육 어떻게 할까’(공저), ‘생태전환시대 생태시민성 교육’(공저), ‘세계시민학 서설’(공저), ‘시민교육의 이해와 실천’(공저), ‘스토리로 배우는 세계시민교육’(공저), ‘초등사회 개념잡기 1’(저서) 등이 있다.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