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뽕이죠, 뭐.” > 시리즈/기획도서

본문 바로가기
  • 회원가입
    2000

    로그인

    다양한 서비스와 이벤트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짬뽕이죠, 뭐.” > 시리즈/기획도서
메인으로

“짬뽕이죠, 뭐.”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사용후기 0 개
위시리스트0
판매가격 25,000원
저자 서근원
발행일 2025-08-30
ISBN 978-89-254-1253-5(94370)
페이지 376
판형 크라운변형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짬뽕이죠, 뭐.”
    +0원
위시리스트
  • 상품 정보

    도서소개

    본 책의 차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탐구 방법에 관한 내용이고, 제2부는 수업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문화기술적으로 이해하는 부분이고, 제3부는 수업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이해한 것을 토대로 수업의 변화를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제시한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나는 기존에 우리에게 알려진 여러 질적 연구 방법들을 우리의 필요나 목적에 따라서 어떻게 재해석하여 실천하는 것이 적절한지 예시하고자 했다. 또한 문화기술지가 모든 질적 연구의 기초이자 출발점이 됨에도 불구하고 충실한 문화기술지를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에서 문화기술지의 한 사례를 예시하고자 했다. 끝으로 현실의 변화에 앞서 왜 현실의 이해가 필요하며 그것이 현실의 변화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예시하고자 했다. 

    목차

    ■ 머리말 3


    제1부 문화기술지의 재해석


    제1장 수업의 이해와 실천……………………………………………… 17

    1. 이해 없는 실천 _ 19

    2. 실천 없는 이해 _ 24

    1) 맥락적 이해 _ 24

    2) 과학적 이해 _ 30


    제2장 탐구 방법의 모색………………………………………………… 37

    1. 실천적 이해 _ 39

    2. 연구와 탐구 _ 44

    3. 문화기술지와 실천탐구 _ 52


    제3장 탐구 문제와 절차………………………………………………… 67

    1. 탐구 문제 _ 69

    2. 탐구 절차 _ 74

    1) 자료의 수집과 정리 _ 74

    2) 교원의 수업 실천 이해 _ 78

    3) 교원의 수업 이해 _ 80

    4) 대안의 모색 _ 81

    3. 탐구의 한계와 의의 _ 83


    제2부 문화기술적 이해


    제1장 “토의식 수업”……………………………………………………… 89

    1. 태산초등학교 6학년의 사회과 수업 _ 91

    2. 한솔반의 “토의식 수업” _ 96

    3. “토의식 수업”의 구성 _ 110

    4. 한솔반 학생들의 학습 _ 116

    1) “빨려드는 것 같아요.”: 자부심 _ 117

    2) “저절로 외워져요.”: 기억 _ 119

    3) “역사는 발자취예요.”: 역사관 _ 121

    4) “추리소설에 버금가요.”: 학습법 _ 123

    5) “선생님이 된 것 같아요.”: 자율성 _ 126


    제2장 교원의 수업 환경……………………………………………… 131

    1. 정부와 공무원 _ 134

    2. 교육과정과 업무 _ 138

    3. 교과의 지도 _ 144

    4. 정책과 업무 _ 149

    5. 현실의 제약 _ 159

    6. 학생의 요구 _ 162

    1) 고학년 _ 162

    2) “배째파” _ 163

    3) “재미있게 해 주세요.” _ 166

    4) “존중해 주세요.” _ 172


    제3장 교원의 수업 이상 ……………………………………………… 177

    1. 가르쳐야 한다 _ 179

    1) 역사의 흐름 _ 180

    2) 민족 의식 _ 183

    3) 공부하는 방법 _ 186

    4) 역사 학습의 의미와 교육 정책 _ 188

    2. 재미있게 해야 한다 _ 192

    1) 이야기 _ 193

    2) 발표 _ 194

    3) 학생의 요구와 국가의 요구 _ 195

    3. 편해야 한다 _ 198

    1) 수업 준비 _ 198

    2) 수업 진행 _ 202

    3) 근무 여건과 사회적 여건 _ 203


    제4장 교원의 수업 실천……………………………………………… 207

    1. 교원의 문제 상황 _ 209

    1) 이상의 실현 _ 209

    2) 역설적 문제 상황 (1) _ 215

    3) 문제 해결 전략 _ 218

    2. 환경의 구성 _ 222

    1) 명예퇴직 _ 222

    2) 실적 우선 _ 225

    3) 직무 수행 _ 229

    3. 수업의 운영 _ 231

    1) 토의식 수업 _ 231

    2) 당근 _ 233

    3) 잔소리 _ 237

    4. 실력의 형성 _ 242

    1) 상식 _ 242

    2) 지도 방법 _ 246


    제3부 문화기술적 실천탐구


    제1장 교원의 수업 이해……………………………………………… 253

    1. “짬뽕이죠, 뭐” _ 256

    1) 조사 발표 _ 256

    2) 사실 기억 _ 258

    3) 사실 확인 _ 261

    2. 짬뽕 수업의 이유 _ 264

    1) 토의식 수업의 개념 _ 264

    2) 발표와 보상 _ 266

    3) 수업의 구성 _ 268

    4) 역사와 역사 학습 _ 270

    3. 짬뽕 수업의 의미 _ 272

    1) 미완 _ 272

    2) 모순 _ 274

    3) 희망 _ 276


    제2장 수업의 대안 실천……………………………………………… 279

    1. 짬뽕 수업의 대안 _ 281

    1) 토의식 수업의 이상 _ 281

    2) 토의식 수업의 토대 _ 283

    3) 역설적 문제 상황 (2) _ 285

    2. 학생의 성장 방안 _ 288

    1) 언어적 설명의 한계 _ 288

    2) 워크숍 _ 289

    3) 수업의 구성 변경 _ 292

    4) 교원의 역할 변경 _ 295

    3. 교원의 성장 과제 _ 297

    1) 딜레마의 극복 _ 297

    2) 역사의 탐구와 학습 _ 299

    3) 탐구와 토론 _ 303

    4. 정부의 과제 _ 306

    1) 국가 교육과정의 모순 _ 306

    2) 교원의 성장 지원 _ 311

    3) 워크숍 운영 _ 313


    제3장 수업 변화의 실마리…………………………………………… 319

    1. 학교 수업의 공정형 체제 _ 322

    2. 매개적 실천 _ 326

    3. 실천탐구 방법의 수련 _ 329


    ■ 참고 문헌 337


    부록 목차

    [부록 1] 한솔반의 토의식 역사 수업 과정 _ 341

    [부록 2] 한솔반의 역사 수업 중 정미진 학생이 발표한 자료 _ 354

    [부록 3] 관찰·면담 자료 목록 _ 356

    [부록 4] 문서 자료 목록 _ 359

    [부록 5] 석사 학위 논문 목차 _ 364


    표 목차

    <표 1> 하미선 교원이 학생에게 나누어 준 “과제 학습” 예시 _ 98

    <표 2> 중·고등학교 교원의 주당 담당 시수표 _ 139

    <표 3> 1996년 태산초등학교의 이행 업무 _ 153

    <표 4> 태산초등학교 알뜰매장 개장 세부 추진 일정 _ 156


    그림 목차

    [그림 1] 초등학교 사회 6학년 1학기 단원 편성도 _ 181


    ■ 찾아보기 367

    저자소개

    서근원(coist@naver.com)

    서울교육대학교 초등 교육과(교육학 심화 과정) 졸업

    서울 무학, 구암, 대림초등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 졸업(교육인류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박사 후 연수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가톨릭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강사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자문위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대우)

    청주교육대학교 연구교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직부 조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현재)


    <주요 저서>

    수업을 왜 하지?(2003, 우리교육)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2009,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의 길: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2012, 강현출판사)

    학교 혁신의 패러독스: 교민(敎民)에서 회인(誨人)으로(2012, 강현출판사)

    해석주의 교육사회학 탐구 (1): 상식 밖의 교육학(2012, 강현출판사)

    나를 비운 그 자리에 아이들을(2012, 교육과학사) (편저)

    공동체는 어디에 있을까?: 우리 시대의 삶과 문화와 교육, 그리고 질적 연구(2013, 교육과학사)

    수업, 어떻게 볼까?: 아이의 눈을 찾아서(2013, 교육과학사)

    풀뿌리 교육론: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2016, 교육과학사)

    수업 이해하기: 교육과정과 교사의 딜레마(2018, 교육과학사)

    칼날처럼 읽고, 봄바람처럼 말하라: 교육학자의 토론과 토론문(2020,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의 선구자들: 슬픈 희망의 교육 생애사(2020,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 다르게 보기: 오류와 대안(2020, 교육과학사)

    학교 혁신의 성찰적 실천: 탈공정과 탈문화식민주의(2021, 교육과학사)

    문화와 교육(202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질적 연구 전통별 접근(2022, 학지사) (공저)

    아이의 눈으로 회인탐구: 그랭이 수업과 맞춤형 교육(2022, 교육과학사) (공저)


    <주요 활동>

    기존 교육학과 질적 연구 방법의 한계를 타계할 수 있는 대안적인 교육학과 질적 탐구 방법을 모색해왔다.

    문화기술적 실천탐구(“아이의 눈으로 회인탐구”) 방법을 교원들에게 안내함으로써 대안적인 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모색해왔다.

    대안적인 질적 탐구 방법과 실천탐구 방법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워크숍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상품 정보 고시

  •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 배송/교환정보

    배송

    30,000원 이상의 주문시에 배송료는 무료이며, 30,000원 미만시 배송료는 2,500원 입니다. 
    입금확인일 이후 2~3일 안에 물품을 받아보실 수 있으며(일요일, 공휴일 제외) 산간 도서 지방일 경우 1~2일정도 지연될수 있습니다.
     

    교환

    * 사전 연락을 주셔야 하며, 모든 상품의 교환 및 환불은 구입일로부터 10일 이내에 가능합니다. 
    1) 상품에 하자가 있을 때 
        저희측 실수로 인한 하자발생시 100% 교환 및 반품 가능하며 배송료는 저희측 부담입니다. 
    2) 소비자의 기호변경, 주문서 잘못 기입 
        소비자의 기호변경과 잘못된 주문으로 인한 교환에 따른 배송료는 왕복배송료 모두 소비자부담이며,
        상품에 하자 및 이상이 없을 때 가능합니다. 
    ▷교환 및 반품 방법 031-955-6956~8 으로 연락하신후 보내실 물품을 주시면 됩니다.
        보내실 주소는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문발리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4-5호
        (도서출판)교육과학사 특판영업부
    '입니다.
     

선택된 옵션

  • “짬뽕이죠, 뭐.”
    +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