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를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할 수 있는 미래교육의 목적과 방향 탐색, 교수-학습 방법 개선, 미래 사회에 길러야 할 인재 역량 등 다방면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는 현재 인간이 수행하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기능이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것을 감안하면, 미래교육의 방향도 “두뇌(Brain)”의 기능을 밝히는 신경과학, 뇌과학, 인지과학을 토대로 획기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인성교육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 덕목 등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가 부족하여 인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학력 중심 입시위주 교육으로 인해 인성교육이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인성교육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학생ㆍ교사ㆍ학부모 등 전 국민의 노력이 부족하다. 넷째, 특정 교과, 특정 덕목 등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지식이나 사고위주의 단편적인 인성교육을 실천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서 자극을 통한 마음의 변화나 지속적인 반복 습관 및 실천 행위까지 유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저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체험 중심 인성교육, 뇌과학 기반 인성교육, 과정 중심 인성교육 등 최신 인성교육 방법과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
본 저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 인성, 감성, 정서의 중요성이 좀 더 강조됨에 따라서, 인성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 및 사례를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므로, 학부모, 교사, 학생, 교육전문가 등에게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누구든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