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시험제도가 그토록 쓸모없는 것이라면, 공공업무 담임을 위한 공개경쟁 시험제도가 없던 서구에서, 왜 숱한 사회적 저항을 무릅써 가며 그것을 도입하고 정착시켰겠는가? 그동안 인류는 동서를 막론하고 제정신이 아니었단 말인가? 현재 인류의 삶의 조건 속에서 시험제도를 소거시킨다면, 내가 어떤 사회적 공능(function)을 발휘할 수 있느냐에 따라 나의 사회적 처지가 조성되는 삶의 질서로부터 내가 누구의 자식이냐에 따라 할 수 있는 일, 할 수 없는 일이 갈리는 질서로 몰락해버릴 것이다.
한국의 교육현실과 사회현상, 시험제도에 대한 판단은 자기 몫이다. 그 판단의 건전성 여부에 따라 우리 사회의 미래는 향방을 달리할 것이다. 이 연구는 그 판단에 조력하려는 미진한 걸음, 그 첫 발자국에 지나지 않는다.
이 연구는 과거제도와 교육에 얽힌 주요한 줄기, 큰 흐름(大綱)에 대한 논술이다. 차후, 시대변화에 따라 나타났던 다양하고 세부적인 현상에 대한 더욱 더 정련된 연구를 기약하면서 제현들의 질정을 기대한다.
목차
서 문 / 3
Ⅰ. 서 론········································································17
Ⅱ. 과거제도에 대한 논의와 문제점····································31
1. 과거제도의 개방성과 폐쇄성··········································31
2. 과거제도의 개방성․폐쇄성 논쟁에서의 문제점···················67
3. 교육학계에서의 과거제도 평가와 문제점··························95
4. 요약 및 논의······························································127
Ⅲ.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사회적 기능과 성격······················131
1. 부거․사환권의 기준과 실제············································131
2. 양반독점론에 대한 비판···············································173
3. 부거․사환상의 차대자에 대한 재론·································197
4. 과거제도의 개방적 성격···············································233
5. 실학자들의 개혁론이 갖는 의미·····································263
6. 요약 및 논의·······························································271
Ⅳ. 과거제도의 교육적 성격···············································275
1. 조선조의 과거제도와 학교제도·······································276
2. 과거 시험내용의 성격···················································289
3. 과거제도와 사회적 유동성·············································300
4. 사회적 혜택의 전제조건과 교육······································305
Ⅴ. 19세기 말 경장기 교육기회의 성격································311
1. 문제제기······································································313
2. 1882년 유음 전후의 사회변화와 그 파장·························317
3. 1882년 유음에 나타난 교육기회의 의미···························330
4. 갑오경장기 개혁조치와 교육기회에 대한 재검토················334
5. 조선 사회에서의 교육기회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346
6. 맺음말·········································································352
참고문헌 / 355
찾아보기 / 367
저자소개
김경용(金敬容)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졸업(이학사)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졸업(문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 박사)
연세대, 제주대, 공주교대, 경희대 교육대학원, 수원대 및 동 교육대학원 강사
수원대학교 교양교직과 겸임교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역임
현) 서울대학교 출강
학위논문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교육적 성격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8)
연구논문
(1998). 조선시대 良人의 과거응시자격. 연세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169-196.
(1999).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서얼차대. 敎育史學硏究, 제9집. pp.53-71.
(2000). 19세기말 更張期교육기회의성격이해를위한연구.교육사회학연구, 제10권제2호.
(2001). 朝鮮時代 科擧制度 性格의 理解를 위한 史料批判的 考察. 敎育史學硏究, 제11집.
(2003). 전근대 서구지식인의 시험제도에 대한 인식. 敎育史學硏究, 제13집.
(2004). 조선시대 과거제도 시행의 법규와 실제. 敎育法學硏究, 제16권 제2호.
(2005). 합리적 차등주의와 교육 및 시험제도에 대한 구미지식인들의 인식. 敎育批評 18, 2005 봄.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